본문 바로가기
역사와 이야기/인물과 사건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10)-되돌아 본 충장공 양헌수 대장의 일생

by 헬나이트 2020. 4. 10.
728x90
반응형

 

무인의 문집인 『하거집』의 내용을 통해 느껴지는 저자 양헌수에 대한 인상은 문무겸전한 ‘선비 무인’이라는 표현이 적절할 것 같다. 그는 조선의 격변기인 19세기를 살았던 전형적인 무인이다. 동시에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유학을 공부하여 학자적 소양을 풍부하게 갖춘 행정가이기도 했다.

증조부와 조부가 각각 병사와 수사를 역임한 전통을 계승하여 무인의 길로 들어선 후에도 책을 멀리하지 않았고, 다양한 종류의 글을 남겼다.

양헌수의 스승 화서 이항로 선생 생가(경기 양평군)

특히 『하거집』에는 양헌수의 관직생활과 관련된 저술들이 많다. 일반 문인 학자들의 문집과 다른 점이다. 주로 군수․목사(牧使)․병사․어영대장․좌포장․형조판서․금위대장․공조판서에 이르기까지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 남의 손을 빌리지 않고 직접 작성한 글이다. 그래서 행정 문서로서의 성향이 강한 글이 대부분인데, 이도 역시 보통 무인들과 구별되는 특징일 것이다.

그리고 양헌수가 정족산성 전투에 승리한 요인의 저변에는 조부 양완(梁垸)이 저술한 『악기도설(握奇圖說)』과 같은 진법서를 통한 병법 연구와 그를 토대로 한 발전적 응용이 크게 뒷받침되었을 것이다.

『악기도설』은 중국 고대의 진법서인 『악기경』의 이론 체계를 배경으로 하면서, 이를 조선의 실정에 맞게 개편하고 여기에 ‘도설’을 첨부한 18세기 조선의 대표적 진법서라고 할 수 있다. 집안에 전해오는 여러 병서들이 양헌수의 전략 구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당시 양헌수의 휘하에서 함께 근무하면서 가까이서 지켜본 대문장가 이건창(李建昌)은 묘지명을 짓고, 한장석(韓章錫)은 신도비명을 지었다. 홍문관 대제학을 역임한 한장석이 쓴 이 구절은 조선 말기의 격동기를 살았던 무인 양헌수를 이해하는데 매우 적절한 표현일 것이다.

“아! 세상 사대부들 중에 유아호문(儒雅好文)하는 자들이 참으로 많구나. 평상시에는 입으로 성리학을 말하며, 천인(天人)들 사이를 출입한다고 하나, 갑자기 대란(大難)을 당하면 당황하지 않는 자가 드물어 자기의 직분을 잃어버린다. 어쩌다가 조그마한 공이라도 세우면 또한 자존망대하여 능히 공명(功名)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예로부터 많고도 많았다. 그러나 공과 같은 분은 유자(儒者)의 식견을 가지고서 무인의 굳은 기개를 실천하시어 백 여 년 태평 시대에 기발한 전술을 분연히 떨치시니, 공로가 높은 데도 이를 자랑하지 않고 명성이 드날려도 더욱 겸손하였다.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처음 학문을 닦을 때로 되돌아가더니 죽을 때까지 길이 명예를 지켰다. 이 어찌 참으로 시문과 예문에 조예가 깊었던 국가의 간성(干城)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충장공 양헌수 신도비(경기 양평군)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대의 침공을 물리치고 국가적 위기를 극복한 천총 양헌수에 대한 강화도 지역 주민들의 존경과 흠모의 마음은 남달랐다. 그로부터 100여 년이 지난 1970년대 전국 초등학교 교정에는 정부 방침에 따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동상이 세워지고 있었다. 그러나 프랑스군과 정족산성 전투를 벌였던 전장에 가까이 위치한 길상초등학교(당시 길상국민학교) 교정에는 양헌수 장군의 동상이 건립되었다.

강화 지역 주민들은 이 지역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직접적으로 지켜준 고마운 분은 양헌수 장군이므로 그 분의 동상을 세울 것을 주장했다고 한다. 지역 주민과 총동창회가 뜻을 모아 양헌수 장군의 동상을 세운 것이다. 정족산성 동문 내부에 세워진 '순무천총 양공 헌수 승전비'(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도 지역 주민들이 뜻을 모아 자발적으로 세운 의미 있는 기념비다. 

길상초등학교 교정에 세워진 양헌수장군 동상(강화 길상면 삼랑성길22)

 

      

몰아보기!

2020/03/17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1)-문무겸전한 양헌수 선대 혈통

2020/03/20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2)-인생의 진로를 바꾼 양헌수

2020/03/24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3)-진정한 목민관 양헌수

2020/03/27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4)-국가위기를 두 어깨에 진 천총 양헌수

2020/03/30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5)-철저한 지형정찰과 양헌수의 전략 판단

2020/04/01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6)-전술의 기본에 충실한 천총 양헌수

2020/04/03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7)-양헌수가 필승하는 ‘지피지기’의 전투

2020/04/06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8)-임오군란도 비켜간 청백리 ‘양대장’ 집

2020/04/08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9)-무인 양헌수의 독특한 문집 『하거집』

2020/04/10 - [역사와 이야기/인물] - 충장공 양헌수와 병인양요(10)-되돌아 본 무인 양헌수의 일생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