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난중잡록8

임진왜란, 그 고통의 기록(2)-Ⅳ 조경남 『난중잡록』의 사료적 가치 『난중잡록』 저자 조경남의 11대 맏손자인 조태희(趙台熙)의 간행사에 의하면 인조 때 『선조수정실록』을 간행하면서 『난중잡록』 초본을 참고하였다고 한다. 이는 당시 사대부 출신으로 의병장을 지내기도 한 조경남의 『난중잡록』이 수정실록 편찬에 참조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실록 수정 작업이 끝난 후에 원본은 1657년(효종8) 본가로 반환되었고, 부본은 정부에 보관하였다고 한다. 이때 정부에 부분으로 남아있던 『난중잡록』이 1909년〜1911년에 고서간행회가 『대동야승』을 간행할 때 제26권부터 34권까지 9책으로 간행하는데 대본이 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같은 중요성 때문에 『대방기문(帶方記聞)』, 『동국춘추』 등의 이름으로도 불리게 되었을 것이다. 특히 조선 왕조 개국 이래 200년.. 2020. 12. 18.
임진왜란, 그 고통의 기록(2)-Ⅲ 조경남 『난중잡록』의 주요 내용(四) 『난중잡록』의 저자 조경남 의병장은 정유년(1597) 8월에 비로소 자신이 외조모에 의지하여 자랐으므로 어머니로 부르게 된 까닭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남원성 전투를 상세히 기록하였는데, 이는 저자가 남원성에서 멀지 않는 용추동에 외조모를 모시고 피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리산을 우회하여 쳐들어온 왜적의 진입경로를 상세히 기술한 것도 전라도 지역의 전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로부터 조경남은 자신의 움직임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정유년(1597) 10월 23일에는 노략질하는 왜적을 맞아 싸우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조경남의 의병활동이 이 무렵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무술년(1598) 6월에는 전라 병사 이광악(李光岳)의 휘하에 ‘막사(幕士)’로 종사하게 되었는데.. 2020. 12. 15.
원릉군 원균 장군 묘역을 답사하며 2020년 11월 10일 그동안 미루던 원균 장군 묘역을 답사했다. 용인 이동면 사는 친구의 안내로 평택시 도일동에 위치한 원균 장군의 묘역과 관련 유적들을 답사했다. 원균 장군은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에 경상우도 수군절도사로 참전하고, 1597년 삼도수군통제사로 출전했다가 전사하신 무장이다. 충무공 이순신과 함께 너무나 잘 알려진 역사인물이다. 그리고 원균 장군의 공과에 대해 많은 편차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조선시대 많은 무인들이 있었으나 자신의 행적을 기록으로 남긴 분은 매우 적다. 무인적인 기질로 인해 기록을 남기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결과 인지도 모르겠다. 다행히 기록을 남기신 충무공 이순신 같은 분들은 이때 남긴 기록으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어왔었다. 그러나 이 같은 기록을 남기.. 2020. 12. 13.
임진왜란, 그 고통의 기록(2)-Ⅲ 조경남 『난중잡록』의 주요 내용(三) 의병장 조경남의 『난중잡록』 제3권은 계사년 7월부터 5년 6개월의 기록인데, 외형적으로는 분량이 가장 많다. 계사년 후반부는 강화회담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왜군과 명의 지원군 일부가 철수하여 본국으로 돌아가는 상황이었다. 전쟁이 소강상태가 되면서 호남지방으로 들어온 명나라 장수와 군대에 대한 기록이 크게 증가했다. 명나라 장수 사대수가 남원에 진주하였을 때 저자 조경남 의병장이 그들에게 질문한 부분은 남다른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송대빈의 군사가 기병인 이유는 북방지역의 군사이므로 기병전술을 구사하는 북방민족을 대적하기 위함이며, 낙상지의 군사가 보병인 까닭은 그들이 남방지역 군사이므로 총과 칼을 주 무기로 하는 적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질문을 통해 파악하게 된 .. 2020.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