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2 고덕천 철새와 수변생태공원, 서울 둘레길 2021년 1월 18일 날씨가 많이 풀렸다. 잔설이 있기는 해도 이제 봄이 곧 올 것 같다. 고덕천 변에 철새들이 먹이 활동을 열심히 하고 있다. 휴식도 하면서. 셍태공원 관리소에서 준 것인지 나무에 먹이 통이 달려있다. 행인들과 좀 떨어진 곳에 달아두면 새들이 안심하고 식사할 수 있을 터인데, 아쉬운 생각이 든다. 고덕천 하구 고덕천 수변 생태공원에 도착하니 결빙한 한강이 눈에 들어 온다. 요 근년에는 한강이 결빙한 적이 아마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고덕천 수변 생태공원 부근에 또 하나의 한강 교량이 완공을 앞두고 있다. 이 다리의 이름은 무엇으로 결정될란지 궁금하다. 큰 추위에도 공사는 계속된 듯하다. 공사인력의 노고가 수 많은 시민들의 소통과 안전에 도움을 준다. 2021. 3. 5. 검단산의 아름다운 눈길-산곡초등학교 쪽으로 내려오며 2021년 1월 14일 검단산을 산곡초등학교 뒷편 묘지길로 올랐다. 기계 유씨들의 씨족 묘지가 잘 정돈돼 있다. 남쪽 방향이라서 잔설만 약간씩 남아있다. 며칠전에 내린 폭설을 보려했는데 이미 잔설이 되어 버렸다. 팔각정에서 산곡초등학교 방향 계곡길로 하산하면서 계곡에 쌓인 빙벽을 찍었다. 2021. 2. 26. 제주도 겨울 여행-특이한 전통 무덤 양식-일반인, 제주 부씨 묘역, 가족묘역 제주도를 여행하는 관광객이면 누구나 한 번쯤은 독특한 묘지 양식에 관심을 가져보았을 것이다. 2020년 12월 17일부터 22일까지 5박 6일 동안 여행하면서도 묘지 사진을 여러 장 찍었다. 시신을 안장한 봉분은 육지의 여느 묘지와 다를 것이 없는 바가지를 엎어 놓은 형상이다. 비교적 잔디가 무성하게 잘 자라고 있는 것도 눈길을 끈다. 그러나 역시 큰 차이 점은 묘지 주변을 제주 화산석으로 둘러싸고 있는 사각형의 울타리석이다. 길이를 눈대중으로 살펴보니 울타리석의 내면 3~4m, 외면 4~6m, 폭과 높이 50cm~1m 내외 정도로 측정된다. 주택 인근이나 감귤밭, 무밭 가장자리에 비좁게 자리 잡은 묘지는 내면 2~3m, 외면 3~4m 정도로 울타리석의 규모도 작다. 오름이나 큰 밭에 넓게 자리 잡은 묘.. 2021. 2. 23. 헬나TV - 그럼 경영을 시작해보지 [노스가르드 2화] youtu.be/5h1OCm81vzk #노스가르드 #전략 #바이킹 드디어 한글패치를 완료(?) 했습니다! 예전 기억을 떠올리며 다시 플래이에 집중해보겠습니다ㅎㅎ 역시 오랜만에 하니까 맛이 살아있네요~ #게임 #헬나이트 #리뷰 #아재 #인기급상승 #구독 #좋아요 #알람 설정 부탁드립니다~! 2021. 2. 22.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