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명량해전2

충무공 이순신의 분신 무의공 이순신(5)-경상우수사 이순신과 충무공 이순신 명량해전 이후로 수군이 재건되는 과정에서 이순신은 경상우수사가 되어 통제사 이순신 휘하에 돌아왔다. 1598년 9월 하순부터 장기간 전개된 순천 왜교성(倭橋城) 전투에서 통제사 이순신과 함께 조·명 연합작전에 참전했다. 이때 경상우수사 이순신의 지위는 통제사 이순신 다음가는 부사령관 격이었다. 왜란 발발 초기부터 의기투합 연전연승한 두 지휘관이 다시 수군을 이끌게 된 것이다. 군사들도 사기가 충천했다. 반면에 왜군은 더욱 위축되어 수륙 양면 작전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 무렵 왜군 진영에는 본국으로 철수하라는 밀명이 하달되었다. 왜교성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군은 명군 도독 진린(陳璘)을 매수하여 퇴로를 확보하려 했다. 통제사 이순신은 진린의 지시를 거부했다. 결국 왜군은 사천 남쪽 창선.. 2020. 4. 22.
충무공 이순신의 분신 무의공 이순신(4)-충청수사 이순신과 통제사 이순신 1593년 8월 전라좌수사 이순신은 그간의 전공을 인정받아 전라․충청․경상도 수군을 통괄하는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 그러나 방답첨사 이순신은 한직으로 좌천되는 수난을 겪기도 했다. 결국 해전의 공로가 인정되어 충청수사로 돌아왔다. 1594년 9월 말 제1차 장문포 해전에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오른팔이 되어 다시 전장으로 나갔다. 이 무렵 왜군들도 수차례 해전을 통해 조선 수군의 전술을 상당히 간파하고 있었다. 해전 양상도 달라졌다. 왜군은 불리하면 육지로 올라가 달아났다. 육군과 양면 협공을 하지 않으면 소탕할 수가 없게 되었다. 육지로 도주한 적선 2척을 소각시키는 전과에 만족할 때도 있었다. 이 같은 현상은 10월 초순에 벌어졌던 영등포 해전․제2차 장문포 해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정유년(1597.. 2020. 4. 20.